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tioxidant activities of five insect polysaccharides in vitr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環境昆蟲學報 = Journal of environmental entomology
ISSN 1674-085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E, Zhao,LI, Xian,SUN, Long,CHEN, Zhi-yong,FENG, Y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Pyrogallol autoxidation 방법, DPPH 방법, Fenton 반응 체계, FRAP 분석법 및 과산화 손상 세포에 대한 보호작용법을 사용하여 쥐똥밀깍지벌레(Ericerus pela Cavannes) 암컷 성충의 다당, 메뚜기 다당, 잔날개바퀴벌레(black beetle) 다당, 미국바퀴벌레(cockroach) 다당 및 번데기 다당에 대한 체외 항산화 연구를 수행하고, 곤충 다당의 총 환원 능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가 과산화음이온의 자유라디칼(O 2 - ·), DPPH·, 카르복실 자유라디칼(·OH)에 대한 제거 작용 및 손상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5종 다당이 몇가지 자유라디칼에 대해 모두 서로 다른 수준의 제거 작용이 있었으며, 모두 용량-효과 관계(Dosage-dependent effect)를 나타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산화 체계는 서로 다른 제거 활성을 보였는데, 쥐똥밀깍지벌레 다당의 총 환원 능력이 가장 강했다; 쥐똥밀깍지벌레, 잔날개바퀴벌레, 미국바퀴벌레 및 메뚜기 다당은 DPPH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명한 제거율을 보였다; 번데기, 잔날개바퀴벌레 및 미국바퀴벌레의 다당은 카르복실 자유라디칼에 대해 강한 제거 능력을 보였다; 그러나 각 곤충 다당이 과산화음이온에 대한 제거 능력은 모두 뚜렷하지 않았다. 5종 다당이 과산화수소 손상 세포에 대해 일정한 보호 작용이 있으므로, 서로 다른 농도 범위에서 세포 생존율을 증가할 수 있다. 연구 결과, 곤충 다당은 일정한 항산화 활성이 있으므로 천연적인 항산화물 원천으로 사용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00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olysaccharide,antioxidation,free radical,white wax scale,cockroach,locust,black beetle,silkworm pupae,다당,항산화,자유 라디칼,쥐똥밀깍지벌레,미국바퀴벌레,메뚜기,잔날개바퀴벌레,번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