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udy on the field management of Sinoxylon japonicum using Beauveria bassiana and Metarhizium anisoplia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環境昆蟲學報 = Journal of environmental entomology
ISSN 1674-085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Chen,ZHU, Geng-ping,CHEN, Yi-tong,XIE, Xiao,DING, Jia-wen,LIU, Qi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일본 개나무좀(Sinoxylon japonicum)은 회화나무(Chinese scholartree)와 아카시아(acacia) 등 관상수목(ornamental trees and shrubs)의 줄기를 먹는 주요한 해충이다. 본 연구는 분무법(spray method)을 사용하여, 0.1%(체적 분율) 트윈(tween)-80의 1.0×10 9 분생포자(conidia)/mL로 된 백강균(Beauveria bassiana)과 녹강균(Metarhizium anisopliae) 현탁액으로 일본 개나무좀의 서로 다른 생활사(life cycle) 시기에 있는 삼림에 대하여 분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백강균의 치사 효과가 녹강균의 치사 효과보다 양호했다. 백강균의 약물 분무 효과가 가장 양호한 시기는 성충의 월동 기간이었다. 이 시기에 부러진 가지(broken branches)의 벌레 보정 살충률(Corrected mortality)이 94.1%이고 시체로 된 벌레 비율(cadaver rate)이 75.0%이었다. 상대적인 부러진 가지의 비율이 48.9%이고 상대적인 벌레에 의한 구멍 비율이 49.2%이었다. 녹강균의 방제 효과가 가장 양호한 시기는 성충의 우화기였다; 이 시기에 부러진 가지의 벌레 보정 살충률이 79.9%이고 시체로 된 벌레 비율이 83.3%이었다. 상대적인 부러진 가지의 비율이 71.0%이고 상대적인 벌레에 의한 구멍 비율이 54.2%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03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inoxylon japonicum,Beauveria bassiana,Metarhizium anisopliae,field management,일본 개나무좀,백강균,녹강균,삼림 방제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