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auses of jellyfish blooms and their influence on marine environment.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U, Chang-feng,SONG, Jin-ming,LI, N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해파리 대량 출현은 새로운 해양생태재해로써 해양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해양 생태 환경을 심하게 파괴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해파리 대량 출현의 가능한 유발인자을 요약한 후, 해파리의 대량 출현이 해양생물 기원 성분, 용존산소, pH 및 생물군집 등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그 결과, 해파리의 대량 출현은 그 자체의 생리학적 구조 및 생활사와 밀접한 상관성이 있었다. 게다가 가진 몸 구조가 간단하고 성장이 빠르며, 번식성이 강하며 세대 간격이 짧으며 악렬한 환경에도 적응성이 강한 등 장점이 있어 적합한 환경을 만났을 경우 신속하게 번식할 수 있었다. 해파리의 대량 출현은 주로 해수 온도의 변화와 상관성을 보였는데, 해수 온도의 상승은 해파리의 먹이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해파리의 생식을 촉진시켰다. 특히 온난성 해파리의 집적 및 번식을 더 쉽게 일으켰으며 또한 대량의 출현을 초래하였다. 부영양화, 기후변화, 남획, 생물 침입, 서식지 변화 등도 모두 해파리의 대량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다. 해파리의 대량 출현은 생물 기원 성분의 형태 및 생지화학적 순환에 뚜렷한 영향을 미칠 수 있었고, 해파리의 NH 4 + 및 PO 4 3- 배출 속도는 각각 59.1~91.5μmol N·kg -1 ·h -1 및 1.1~1.8μmol P·kg -1 ·h -1 으로써 식물 플랑크톤을 위하여 8%~10% 및 21.6%의 N 및 P를 제공할 수 있었으며, 용존 유기탄소의 배출 속도는 1.0μmol C·g -1 ·d -1 이었다. 해파리의 부식시 총질소 및 총인의 배출 속도는 4000μmol N·kg -1 ·d -1 및 120μmol P·kg -1 ·d -1 에 도달할 수 있었으며, 용존 유기탄소의 배출 속도는 30μmol C·g -1 ·d -1 이었다. 해파리의 부식은 수질의 pH 및 용존산소 함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으며 또한 수질의 심각한 산성화와 산소 결핍/무산소 상태를 초래하였다. pH의 감소폭은 1.3이었으며 평균 산소 소모량은 32.8μmol·kg -1 ·h -1 에 도달하였다. 그 외, 해파리의 대량 출현은 일부 어류와 식물 플랑크톤 생물량의 감소 및 재분배를 일으킬 수 있었으며, 또한 미생물 플랑크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식물 플랑크톤을 간접적으로 증가시켜 해양의 비정상적인 1차 생산을 일으켰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18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inducement,effect,jellyfish accumulation,seawater temperature,marine eco-envi-ronment,유발인자,영향,해파리 대량 출현,해수 온도,해양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