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대상 시설재배지 토양의 물리성은 대부분이 모래의 비율이 높은 sandy loam이나 loam으로 투수성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되나, P2나 S1에서는 미사의 비율이 높은 미사 loam으로 투수성 및 통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의 화학성은 EC의 경우 표토의 대부분이 기준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향이었고, 심토의 경우는 기준치 이하로 조사되었다. 또한 유기물 함량은 적정수준 2 $ sim$ 3%보다 조사 대상 지점의 대부분에서 상회하였고, 심토의 일부분도 이 수준을 넘는 곳도 있었다. 조사 대상 지역의 수질 특성 중 시설재배시 지하수의 가장 중요한 염류 지표인 EC는 연평균 0.48 dS/m로 농업용수로서 작물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나, 수질오염지표인 질산성 질소의 경우 19.1 mg/L로 농업용순 수질 기준인 20 mg/L에 근접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특히 조사 대상 지점의 36.4%가 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중의 이온의 양과 영양염류의 양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전기전도도인 EC는 양이온인 경우 $Mg^{2+}$ , $Ca^{2+}$ , $Na^+$ , $K^+$ 와 정의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2가 양이온인 $Mg^{2+}$ 와 $Ca^{2+}$ 간에는 고도의 정의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EC와 음이온간에는 $NO_3^-$ , $Cl^-$ , $SO_4^{2-}$ , $PO_4^{2-}$ 와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지하수 오염지표인 $NO_3-N$ 의 경우에는 COD를 제외한 모든 이온들과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SO_4^{2-}$ , $Cl^-$ , $Na^+$ , $Ca^{2+}$ , $Mg^{2+}$ 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NO_3-N$ 는 EC와 함께 지하수오염 중요한 지표중의 하나임을 보여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