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묘 기간중의 고도 차이가 자묘의 특성 및 딸기 수량에 미치는 영향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
ISSN | 1226-8763, |
ISBN |
저자(한글) | 이종남,임주성,이준구,남춘우,김기덕,이응호,용영록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0-01-01 |
초록 | 본 실험은 촉성재배용 신품종딸기의 화아분화 유기와 자묘 품질에 대한 고랭지육묘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신품종 딸기 '매향'과 '설향'은 촉성재배를 위해 대관령(해발 800m)과 강릉(해발 20m)에서 각각 증식되었다. 증식기간 동안 평균기온은 강릉이 $20.4^{ circ}C$ 로 대관령의 $15.1^{ circ}C$ 보다 $5.3^{ circ}C$ 더 높았다. 자묘 증식량은 강릉이 대관령보다 두 배 정도 많았다. 탄저병 발생율은 강릉이 대관령보다 4-7% 높았다. 화아분화 유기를 위한 육묘처리기간의 평균기온은 강릉육묘가 $28.6^{ circ}C$ 로 대관령육묘의 $23.5^{ circ}C$ 보다 $5.1^{ circ}C$ 더 높았다. 대관령육묘는 강릉육묘에 비해 C/N율은 높고, T/R율은 낮았다. 화아분화기는 대관령육묘가 강릉육묘보다 30일 이상 빨랐다. 따라서 신품종 딸기의 촉성재배를 위한 적정 육묘지역은 고랭지가 적당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01865161907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탄저병,화아분화,매향,설향,anthracnose,flower bud differentiation,Maehyang,Seolhya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