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1930년대 경주의 도시 모습과 사회 변화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新羅 文化
ISSN 1229-093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nbsp; nbsp;1930년대 경주의 도시모습과 사회변화를 살펴보고 그 변화에 담겨진 의미를 고찰하였다. 1936년에 경주역이 이전되어 시내의 기존 철도노선이 걷히고 새로운 노선이 만들어졌다. 역 이전과 함께 개설된 도로로 인해 읍성 남쪽 성벽은 완전 철거되었고 읍성 성내에는 일본 사찰 등이 새로 건립되면서 일본풍 경관이 두드려 갔다. nbsp; nbsp;1930년대에 경주에 관한 지리지가 3종류 간행된 것은 지방세력의 의론이 모아지지 않아 각각 지리지 발간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nbsp; nbsp;1930년대에 직업학교인 경주공예실수학교와 증등학교인 경주중학교가 개교하였다. 1938년에 일본 사찰인 서경사가 창립되었다. 기림사를 비롯한 경북 본말사에서는 비행기 구입을 위한 모금운동에 동참하고 국방헌금도 낼 정도로 일제 침략 전쟁의 영향이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nbsp; nbsp;1930년대에 조선고적연구회 경주연구소를 중심으로 고분조사와 불적조사가 진행되었다. 탑을 복원하거나 새로운 유물을 발견하였다. 1933년에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이 반포하는 등 근대적 보존 체제를 정비하였다. 그런데 문화재 보존이 식민당국의 필요와 시각에 의한 것이어서 당시의 문화재 보존정책은 한계가 많은 정책이었다. nbsp; nbsp;1930년대에 수학여행단을 비롯해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조선총독부 경주분관의 입장객도 늘어나고 숙박 시설도 확충되었다. 수학여행단과 일반인의 고도여행은 일제의 문화지배전략 아래 놓인 민족적 전통성 환기라는 측면에서 이중성을 갖고 있었다. 일제는 고도의 정비를 통해 식민통치의 우월성을 효과적으로 선전하였다. 경주는 식민지 문화통치의 한 방편으로써 고도로서 정비되어 관광 명소화되고 이러한 도시 특성은 1930년대에 더욱 굳어지고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8191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Jigeongmyeon(administrative district),Chosun Historical Spot Research Institute,Donghae line,Gyeonggyeong line,Standard gauge,Gyeongju Eupseong,Gyeongju Eupji,Dong-Gyeong-Tong-Ji(treatise on geography),Geum-Oh-Seung-Ram(treatise on geography),Gyeongju Craft Practice School,Seogyeongsa,Girimsa,Moraga Hideo,Shillaje,Bul-Guk-Sa Inn,Ancient city tour,the Gyeongju museum of Chosun Government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