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잔재물 볏짚소각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PM10)에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측정과 배출계수 산출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環境管理學會誌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
ISSN | 1225-9144,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1-01-01 |
초록 | nbsp; nbsp;곡식 수확 후 발생된 볏짚과 같은 생물성 잔재물의 노천 소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경작을 하는 모든 나라에서 발생하는 상황으로 방대한 양의 미세먼지가 발생되어 대기질에 큰 영향을 가져와 스모그를 형성하거나 시정을 매우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볏짚은 주로 셀룰로즈와 헤미셀룰로즈로 구성되어 있어서 소각하면 적은 양의 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검댕이나 입자상의 불완전 연소물질인 미세먼지를 다량 발생시킨다. 미세먼지의 배출계수와 미세먼지 중 함유된 PAH 화합물질의 농도 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9㎥ 크기의 소각 채임버를 제작하여 소각 실험을 진행하여 미세먼지를 채취하였으며, deuterated-PAH 표준물질로 PAH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볏짚소각으로 발생된 미세먼지의 배출계수는 약 36g/㎏-볏짚으로 산정되었으며 PM10에서 총 PAH 함유량은 평균 0.023wt% 이었으며, 그 중 벤젠 링의 수가 4개인 PAH 화합물의 무게 비율이 54wt%로 가장 높았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6686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olyaromatic-hydrocarbon,rice straw burning,emission factor,PM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