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재배과정, 수확, 가공 및 유통 단계에서 당귀의 미생물적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뿌리, 토양 및 관개수를 포함한 111개의 시료가 생산과정과 유통과정에서 호기성균, B. cereus, coliform, E. coli,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와 S. aureus를 조사하기 위해 수집하였다. 재배과정에서 당귀의 뿌리에서 일반세균수는 6.71 log CFU $g^{-1}$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4.13 log CFU $g^{-1}$ , B. cereus는 3.54 log CFU $g^{-1}$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수확에서 가공 단계까지 모든 가공 과정에서 대장균군과 B. cereus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단 과정에서 미생물오염도가 높게 확인 되었다. 유통과정 중인 당귀에서 일반세균수는 5.6~6.0 log CFU $g^{-1}$ , 대장균군은 2.4~2.6 log CFU $g^{-1}$ , B. cereus는 5.4~6.0 log CFU $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모든 시료에서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해미생물의 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위생적인 토양관리 및 수확 후 관리가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