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적겨자 유기농 재배를 위한 유기질비료 유박의 적정시용 기준을 마련하고자 시설하우스에서 유박비료를 질소성분량 $70kg ;ha^{-1}$ (ECF 100)을 기준으로 35 (ECF 50), 52.5 (ECF 75), 105 (ECF 150) kg $ha^{-1}$ 수준으로 처리하여 토양환경, 적겨자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 후 토양 pH는 유박 시용 전에 비해 낮아졌으며, 유박 시용량에 따른 pH는 5.7~5.9 범위로 차이는 없었다. EC는 $3.40{ sim}3.54dS ;m^{-1}$ , 인산은 $580{ sim}618mg ;kg^{-1}$ 로 유박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K, Ca, Mg 등의 양이온도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호기성 세균과 방선균, Dehydrogenase 활성은 각각 $35.0{ sim}48.5{ times}10^6$ , $15.2{ sim}19.3{ times}10^4$ CFU soil $g^{-1}$ , $34.6{ sim}38.2mg ;kg^{-1}$ 범위이며, 사상균도 시용량에 따라 $37.2{ sim}39.5{ times}10^4$ CFU soil $g^{-1}$ 이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수확기 적겨자 잎의 T-N는 $63.2{ sim}66.4g ;kg^{-1}$ , K는 $55.1{ sim}56.4g ;kg^{-1}$ , Ca는 $8.6{ sim}9.5g ;kg^{-1}$ , P는 $5.7{ sim}6.3g ;kg^{-1}$ 범위였다. 유박비료의 질소이용율은 38~52% 이었으며, 유박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질소이용율은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적겨자의 수량은 유박비료 시용량에 따라 $13,670{ sim}14,460kg ;ha^{-1}$ 범위로 유박비료 시용량이 증가해도 수량 증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겨자 재배시 최고 수량보다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양분관리가 필요한데, ECF 50 ( $924kg ;ha^{-1}$ ), 75 ( $1,386kg ;ha^{-1}$ ) 시험구에 시용한 시용량 정도로 적겨자 재배시 유박비료 시용기준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