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수확 후 델라웨어 포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품질 유지를 위해 키토산 처리 후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에 포장하여 $4^{ circ}C$ 와 $20^{ circ}C$ 에 각각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효모 및 곰팡이 수와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키토산 처리 후 델라웨어 포도의 초기 효모 및 곰팡이 수는 1.88 log CFU/g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저장 12일 후 $4^{ circ}C$ 에 저장한 키토산 처리구는 1.35 log CFU/g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4.35 log CFU/g의 미생물 수 감소를 보여 $20^{ circ}C$ 저장보다 미생물 저감화 효과가 높게 유지되었다. 포장재 내 $O_2$ 농도는 저장 중 모든 처리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CO_2$ 농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전반적으로 $4^{ circ}C$ 저장 시 적은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키토산 처리구의 $O_2$ 및 $CO_2$ 농도가 모든 저장 온도에서 낮은 변화 경향을 나타냈다. 경도에 있어서는 모든 처리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4^{ circ}C$ 저장이 더 낮게 감소하였으며, pH와 당도는 $4^{ circ}C$ 저장에 비해 $20^{ circ}C$ 에서 높은 증가 추이를 보였다. 또한 키토산 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저장 중 델라웨어 포도의 Hunter 색도 값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수확 후 델라웨어 포도에 키토산 처리 후 $4^{ circ}C$ 에서의 저온 저장이 델라웨어 포도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품질관리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