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농업생산기반 표준코드체계 현황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전원과 자원 = Rural resource
ISSN 0253-314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6-01-01
초록 본 연구는 지역별로 생산되는 김의 일반성분, 무기질, 아미노산 성분함량 측정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지역구분은 한국의 전남, 중국의 강소성, 일본 아리아케 지역에서 생산되는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을 대상으로 일반성분은 AOAC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무기물은 ICP-분광분석기, 아미노산은 아미노산 분석기로 정량정성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중국, 일본의 일반성분 함량의 범위에서 수분은 $8.13{ pm}0.38%$ 조단백은 $37.25{ pm}1.15%$ 조지방은 $2.12{ pm}0.27%$ 회분은 $7.41{ pm}0.36%$ 탄수화물 $45.06{ pm}1.30%$ 을 확인하였고, 총 무기질 함량은 한국 $28300.19{ pm}76.39ppm$ , 중국 $13945.63{ pm}7.73ppm$ , 일본 $12262.485{ pm}4.38ppm$ 으로 한국이 가장 높았으며, 총 아미노산의 경우 한국 $265.28{ pm}0.38mg ;g^{-1}$ , 중국 $209.19{ pm}0.19mg ;g^{-1}$ , 일본 $157.61{ pm}0.43mg ;g^{-1}$ 으로 나타났다. 원산지별 연안생태환경에 따라 일반성분 및 무기질, 아미노산 함량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다양한 국가에서 생산되는 김에 대한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025217492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