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issue culture and plant regeneration from Torenia biniflor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廣西植物 = Guihaia
ISSN 1000-314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Ying-hua,SHI, Qiu-ying,CHEN, Xiong-wei,CHEN, Gang,JIN, 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Torenia biniflora는 현삼과 토레니아(Torenia)속 1년생 식물로써 광둥(Guangdong), 광시(Guangxi) 등 아열대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관상성이 비교적 높은 야생 꽃이다. 자연 생장 조건에서 Torenia biniflora는 번식 속도가 느리고 증식률이 낮으며 꽃의 색깔과 꽃 종류가 적어 시장의 다양한 수요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식물의 조직 배양 기술은 관상용 식물의 품종 개량과 새로운 품종 선택 육종에 새로운 경로를 제공하였다. 현재, T. fournieri Linden, T. balllonii Susie Wong, T. con-color Lindl. 등 토레니아속 식물의 조직 배양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Torenia biniflora의 조직 배양에 대하여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Torenia biniflora의 완전히 전개된 잎사귀를 외식체로하여, 배양기에 서로 다른 종류와 농도의 식물 생장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부정아 유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및 이온 강도와 서로 다른 농도의 IBA가 뿌리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부정아의 유도율과 평균 싹 수에 근거하여 최적의 부정아 유도 배양기를 선별하였으며 발근률, 평균 뿌리 수와 평균 뿌리 길이 등 면으로부터 최적의 뿌리 생성 배양기를 선별하였다. 연구 결과, 부정아 유도는 식물 생장 물질의 농도 및 종류와 관계가 있었으며, MS+6-BA 0.5 mg·L -1 +NAA 0.2 mg·L -1 배양기의 유도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Torenia biniflora 뿌리 생성에 가장 적합한 기본 배양기는 1/2 MS이며, 서로 다른 농도의 IBA가 Torenia biniflora의 뿌리 생성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달랐다. 그중 IBA(0.05 mg·L -1 )로 유도한 부정아의 뿌리 생성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orenia biniflora의 고주파 재생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Torenia biniflora의 신속한 번식과 유전 전환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23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orenia biniflora,adventitious buds,adventitious root,regenerated plant,Torenia biniflora,부정아,부정근,재생 식물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