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벼는 세계 인구의 60%에 의해 소비되고 있는 주요 식량작물이며 그 종자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 인류의 중요한 에너지원이 된다. 미곡(米穀)은 주식으로 다량 섭취하게 되는데 특히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부족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는 쌀 단백질이 콩 단백질과 함께 중요한 영양공급원이 되고 있어 벼의 종자단백질은 인류에 매우 중요한 영양성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벼의 종자단백질은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이 부족하므로 아미노산 조성 변경에 의한 영양적인 개량이 요구되기도 하는 한편 선진국에서는 혈압조절이나 면역증강 등 생리기능을 가진 건강증진용 기능성 단백질 또는 펩티드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벼의 종자단백질의 조성변경과 더불어 이종의 저장단백질의 도입에 의한 벼 종자단백질 개량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벼의 종자 저장단백질의 생합성과 축적 특징 및 저장단백질 집적의 유전적 제어 기작에 대하여 알아보고 또한 벼 종자 저장단백질 조성 변경, 이종단백질 도입에 의한 벼 종자 저장단백질 개량 연구 현황을 기술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