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Wei-guo,FENG, Su-ping,HOU, Ben-jun,YU, Fei,WANG, Jing-yi,WU, Yao-ting |
초록 |
본 논문은 고무나무(rubber tree) 그루당 건조 고무(dry rubber) 생산량 등과 관련된 라텍스 생산량 관련 형질(traits related to latex yield)에 대하여 양적형질 유전자좌(quantitative trait loci, QTL) 분석을 수행하였다. 러옌88-13×IAN87(Reyan88-13×IAN873) 교잡 수분 후대 F 1 개체군을 재료로 하였다. 그리고 고무나무 그루당 건조 고무 생산량, 건조 고무 함량, 유관 배열(line of laticifer), 유관 개수(number of laticifer)와 유관 크기 등 고무나무의 라텍스 생산량 관련 형질을 측정하였으며, FsQtlMap 1.0 소프트웨, 복합 구간 매핑 방법(composite interval mapping, CIM)을 이용하고, 이미 구축한 SSR 연쇄 지도를 토대로 QTL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형질의 왜도(skewness)와 첨도(kurtosis)는 정규 분포되었으며, 유관 크기를 제외한 기타 형질의 평균값과 분산(variance)은 비교적 큰 변화가 발생하였다. 고무나무 그루당 건조 고무 생산량 변이 계수는 가장 크고, 각 요소의 변이 계수 순서는 그루당 건조 고무 생산량 gt;유관 개수 gt;유관 배열 gt;유관 크기 gt;건조 고무 함량이었다. LOD 역치(threshold)는 2.5보다 크고, 그루당 건조 고무 생산량과 관련된 QTL가 5개 검출되었는데 이것은 71.3%, 69.1%, 68.3%, 64.4%와 62.9%의 개체군 변이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설명하며, 유관 크기와 관련된 QTL는 3개였는데 이것은 84.5%, 81.3%와 15.4%의 개체군 변이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설명한다. 기타 형질과 관련된 QTL는 검출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