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enetic Analysis of Panicle Neck Length for Three Advanced Backcross Substitution Lines in Ri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學報 = Chinese bulletin of botany
ISSN 1674-34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O, Chun-fang,QIANG, Xin-tao,ZHANG, Ya-dong,ZHU, Zhen,CHEN, Tao,ZHAO, Qing-yong,ZHOU, Li-hui,YAO, Shu,YU, Xin,WANG, Cai-l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인디카 벼(Indica rice) 품종 9311를 수용체로, 자포니카 벼(Japonica rice) 품종 니폰베어(Nipponbare)를 공여체로 하고, 이삭목(panicle neck) 길이의 형질을 제어한 3개 개선된 역교배 치환계통(C031, C108, C115)의 농업 형질을 측정하고 유전적 기초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삭목의 길이를 제외한 외, 3개 치환계통의 풀키와 9311 사이에도 뚜렷하거나 아주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치환계통 C031의 이삭당 낟알 수 및 천립중(thousand grain weight)과 9311 사이의 차이는 뚜렷하였다. 유전 배경에 대한 검출을 통하여, 치환계통 C031과 C115이 모두 2개 니폰베어 치환 조각을 함유하고 있으며, 치환계통 C108이 3개 니폰베어 치환 조각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유전 분석 결과, 3개 F 2 분리 개체군 중의 이삭목 길이 분리는 모두 단일 멘델성 인자(Mmendelian factor)에 의해 제어되었으며, 그 상가적 효과(additive effect)는 각각 3.09, 3.05, ?2.04였다. 연관 분석 결과, C031 및 C108은 치환 조각을 갖고 있는 분자 마커과 연관이 없었으나, C115는 제12호 염색체의 분자 마커와 다양한 정도의 연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C115의 이삭목 길이의 표현형 유전자가 제12호 염색체에 위치하였다는 것을 설명하며, 이를 qPNL-12로 명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해당 유전자의 정확한 매핑과 클로닝을 위하여 기반을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13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ice,advanced backcross substitution lines,panicle neck length,substituted segments,linkage analysis,벼,개선된 역교배 치환계통,이삭목 길이,치환 조각,연관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