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NAMEA 비교분석에 의한 한국 NAMEA 작성과 환경원단위 분석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에너지경제연구 =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
ISSN | 1599-7057, |
ISBN |
저자(한글) | 김충실,이현근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1-01-01 |
초록 | 이 논문은 화폐단위의 국민경제계정행렬과 물적단위의 환경계정이 통합되어 있는 환경계정을 포함한 환경경제국민계정행렬(National Accounting Matrix including Environmental Accounts: NAMEA)을 작성하였다. NAMEA는 한국의 2007년 기준 산업연관표 및 환경통계를 기반으로 9개의 국민계정 항목, 10개의 환경오염물질과 3개의 환경주제를 포함한다. NAMEA를 이용하여 환경주제의 산업별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온실효과는 전력가스 및 수도업(20.4%)이, 산성화효과는 농림수산식픔(27%)이, 폐기물은 건설(57%)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GDP에 기반한 직접적 환경원단위톨 분석한 결과 온실효과는 비금속광물제품(18.05)이, 산성화효과는 농림수산식품(10.3)이 그리고 폐기물은 광산품(26.6)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관분석 방법을 고려한 간접적 환경원단위를 분석한 결과 온실효과는 광산품(15.54)이, 산성화효과는 광산품(9.53)이 그리고 폐기물은 제1차 금속제품(13.18)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경제정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또는 환경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의 분석과 기후변화 관련 정책결정에 종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NAMEA는 기후변화 관련 분석 모형에서 하향식 접근법에 따른 모형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5030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NAMEA,산업연관분석,환경원단위,국민경제계정행렬,환경계정,환경주제,input-output analysis,environmental themes,environmental unit requirenet,national and environmental accou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