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의 영농정착률 제고 방안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SN 1738-736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진모,주대진,길대환,황영훈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1-01-01
초록 이 연구는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중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자들의 특성과 원인을 구명하고 이들의 영농정착률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농수산대학 관련 문헌과 내부자료 분석을 통해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 졸업생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원인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중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자 전체 242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조사에 응답한 88명의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영농기반 부족, 농가소득 부족, 부모와의 갈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영농기술 및 경험부족, 결혼문제, 결혼 후 영농이탈·영농노동량과다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한국농수산대학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의 원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진회의와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다섯 개의 영농정착률 제고 방안을 수립하였다. 첫째, 한국농수산대학의 신입생 선발 시스템 개선, 둘째, 후계농 창업지원제도 개선, 셋째, 영농현실을 고려한 영농분야 및 전공에 따른 맞춤형 지원방안 수립, 넷째, 영농희망자를 고려한 의무영농제도 개선, 다섯째, 한국농수산대학·농림수산식품부·지방자치단체 등 영농창업 및 정착과 관련된 기관들 간의 지원역할 명확화 및 연계강화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의 영농창업 및 영농정착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47205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한국농수산대학,영농유예,학비상환,영농정착,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deferred farming practice,repayment of tuition waiver,sustained farming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