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이 연구는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중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자들의 특성과 원인을 구명하고 이들의 영농정착률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농수산대학 관련 문헌과 내부자료 분석을 통해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 졸업생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원인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중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자 전체 242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조사에 응답한 88명의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영농기반 부족, 농가소득 부족, 부모와의 갈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영농기술 및 경험부족, 결혼문제, 결혼 후 영농이탈·영농노동량과다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한국농수산대학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의 원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진회의와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다섯 개의 영농정착률 제고 방안을 수립하였다. 첫째, 한국농수산대학의 신입생 선발 시스템 개선, 둘째, 후계농 창업지원제도 개선, 셋째, 영농현실을 고려한 영농분야 및 전공에 따른 맞춤형 지원방안 수립, 넷째, 영농희망자를 고려한 의무영농제도 개선, 다섯째, 한국농수산대학·농림수산식품부·지방자치단체 등 영농창업 및 정착과 관련된 기관들 간의 지원역할 명확화 및 연계강화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의 영농창업 및 영농정착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