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의생명과학연구에서 이해갈등(conflict of interest)의 윤리적 문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생명윤리
ISSN 1598-032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옥주,최은경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6-01-01
초록 이해 갈등(conflict of interest)은 개인적인 이해가 전문적 판단에 부당한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가능성이 있는 상황으로서, 20세기 후반부터 중요한 윤리적인 문제로 부각되었다. 연구자, 연구원, IRB 위원, 학술지 편집인, 논문 심사자, 직계 가족 등 개인 차원에서도 이해갈등이 생길 수 있으며 연구기관, IRB 위원회, 의뢰자, 지역사회 등 기관 차원에서도 이해갈등이 생길 수 있다. 금전적 이해갈등은 연구자나 IRB 위원 등 개인이나 기관의 판단을 잠재적으로 편향시킬 수 있는 금전적 이해를 모두 포함하며, 금전적이지 않은 이해갈등도 문제가 된다. 이해갈등의 가장 큰 문제는 피험자의 안전, 과학 진실성, 학계의 사명이 이해갈등으로 위협받고 있다는 점이다. 이해갈등은 연구의 수행이나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데 있어서 연구자의 전문적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므로 과학의 진실성(integrity), 또는 충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연구 수행에서 피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야 하는 연구자의 임무, 정부나 기타 공공 기관에 자문을 하는 전문가의 임무를 수행할 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계획의 심의와 감독을 하는 연구윤리위원회(IRB)가 갖는 이해갈등도 피험자 보호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해갈등의 심각성은 객관적으로 평가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모든 이해갈등이 문제되지는 않으므로, 전문적 판단이 왜곡될 가능성과 피험자에게 미칠 잠재적 위험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한다. 미국은 법규에 의해 정부 연구비로 수행되는 연구에 대해서는 이해갈등을 평가하고 이를 관리하거나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의과대학에서는 이해갈등을 평가하는 위원회를 두고 이해갈등을 공개하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연구 계획 수정, 연구자의 역할 제한, 위원회의 감독 하에 연구 수행, 연구자에게 금전적인 관계의 해제나 단절 요구 등의 조치를 통해 관리한다. 선진국의 의생명과학연구에서 이해갈등에 관한 주제는 심각하게 다루어진 반면 우리 나라에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지지 못한 상태이다. 앞으로 국내 생명의과학 연구는 고부가가치와 산업화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급속히 진행될 것이므로 이해갈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다. 의생명과학 분야의 연구는 대규모 사회적 자원이 투여될 뿐 아니라, 피험자의 참여가 요구되므로, 사회의 신뢰를 확보하고 책임있는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이해갈등에 대한 연구윤리를 시급히 확립할 필요가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34657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이해갈등,의생명과학연구,연구윤리,공개,연구윤리심의위원회,conflict of interest,biomedical research,research ethics,disclosure,I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