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수온이 긴꼬리투구새우(배갑목: 투구새우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ISSN 1225-9918,2287-340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권순직,전영철,박재흥,원두희,서을원,이종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수서생물에 있어서 생장이나 기타 생물학적 특성들은 수온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긴꼬리투구새우의 생장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온에 따른 생장률실험에서 긴꼬리투구새우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생장률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침수 후 14일이 경과하면 갑각길이는 $20^{ circ}C$ 에서 5.7( ${ pm}2.1$ ) mm, $28^{ circ}C$ 에서 7.5( ${ pm}0.5$ ) mm로 나타났다. 그리고 21일이 경과하면 $20^{ circ}C$ 에서 6.9( ${ pm}2.8$ ) mm, $28^{ circ}C$ 에서 7.8( ${ pm}2.0$ ) mm로 나타났다. 또한 침수 후 14일경까지는 빠르게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후에는 생장이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심(80 mm, 190 mm)에 따른 생장률실험에서 침수 후 19일이 경과하였을 때 평균 갑각길이는 수심 80 mm에서 9.3( ${ pm}2.1$ ) mm, 수심 190 mm에서 9.5( ${ pm}1.3$ ) mm로 나타나 수심의 차이에 의한 영향은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갑각길이에 따른 생체량의 분석 결과 길이가 5 mm일 때 건중량은 1.1( ${ pm}0.3$ ) mg, 10 mm일 때 18.0( ${ pm}3.7$ ) mg, 16 mm일 때 26.0( ${ pm}0.0$ ) mg, 20 mm일 때 52.3( ${ pm}4.0$ ) mg으로 나타났다. 생산력과 관련하여 갑각길이가 증가하면 알의 개수도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갑각길이가 7.0 mm인 개체의 경우 20( ${ pm}0.0$ )개이고, 갑각길이가 17.0 mm인 개체의 경우 560( ${ pm}0.0$ )개의 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온도는 생장과 생산력의 척도인 갑각길이와 알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01044105082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arapace length,growth rate,Triops longicaudatus,water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