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다시마를 첨가한 고추장의 숙성 중 유리아미노산 조정 및 관능적 특성 변화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ISSN 1225-433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배태진,최옥수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1-01-01
초록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인 고추장의 관능성 및 기능성을 더하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분질원료인 찹쌀무게에 대하여 2%. 4%, 6%, 및 8%의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후 대조구와 함께 3 $0^{ circ}C$ 에서 12일간 숙성시키면서 유리아미노산과 지방산 조성 acl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숙정 중 대조고추장과 다시마고추장 모두에서 아미노질소는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미노질소의 경우 대조고추장에 비해 다시마 고추장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숙성 30일째의 아미노질소량은 각각 171.31mg%, 172.10mg%, 174.18mg%, 185.60mg 및 161.70mg%로 최고값을 보였다 유리아미노산 중에서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숙성 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arginine, aspartic acid, proline, serine, leucine, lysine 도 비교적 높은 함량을 가졌다. 고추장에서 분리 확인된 지방산은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었고, 이들 중 oleic acid의 조성비율이 가장 높았고 palmitic acid가 다음으로 높았으며 stea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의 경우 숙성 후기로 갈수록 산화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 60일과 120일에 실시한 관능검사의 결과 8% 다시마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고추장과 비교하여 다시마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고추장과 비교하여 다시마 첨가가 고추장의 관능적 특서엥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다시마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어 고추장에 다시마를 6% 정도 첨가하는 것이 적당하였다.'탄산미' 점수는 높았으나 '경도' 및 '씹힘성'은 낮았다. '다즙성'은 두 품종간의 차이는 없었다 '전체적인 수용도' 점수는 적순무 김치의 경우, 숙성 40일 및 45일에 유의적인 차이 없이 높은 값(8.8-8.9점)을 나타내었고. 청순무 김치는 숙성 30일, 40일 및 45일에 유의적인 차이없이 높은 값(8.5-9.1점)을 나타내었다. 청순무 김치는 숙성 60일에는 3.4점으로 매우 낮았으나 적순무 김치는 숙성 70일에도 6.3점을 나타내었다.행 의지, 작업장 시설의 개선과 조리기계·기구의 위생 규격 강화와 철저한 유지ㆍ관리, 식재료 입고에서부터 배식까지 절차, 방법, 기준 등의 표준화, 특히 메뉴 레시피의 표준화 등은 HACCP 시스템을 급식장에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건들이라 할 수 있다. 고려하여 인삼소스, 마늘소스, 생강소스, 배소스 등의 양념 소스 등을 개발하고 보완함으로서 세계인의 입맛에 맞는 음식으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한층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yophy-llene이 다른 휘발성 물질보다 비교적 많은 양으로 검출되었다.n sensitivity를 비교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함으로써 미생물에 대한 인구집단의 반응 민감성 차이를 비교하고 시료채취 후 즉각적인 실험실적 분석이 가능토록하여 정확한 인체노출평가를 수행함으로써 미생물 위해성평가방법론을 식품미생물관리에 적용하는 것이다.으로 사료된다. 또한 재미 한인 사회에서의 대중매체를 통한 명절음식의 홍보와 재교육이 강화되어져야하겠다.m$ 1 $^{ circ}C$ 에서 유지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CLA의 항산화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BHT나 tocopherol과 거의 유사하였고 저온 저장시의 경우 보다 더 높은 항산화효과를 보였다can be used as a criterion where the resources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1119208162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ea tangle,kochujang,fermentation,amino,sensor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