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of Nansha River in Beijing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 Guang-xu,GUO, Qing-jun,CHEN, Tong-bin,Marc, Peters,YANG, Jun-xing,ZHANG, Han-zhi,WEI, Rong-fei,WANG, Chun-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중국 베이징 난사허(Nansha River)는 하이뎬 북부 지역(north of Haidian District, Beijing)의 중요한 배수(drainage)와 풍경 관광성 하도(river channel)이다. 중국 난사허 기저층의 침적물(sediment) 중 중금속(heavy metal) 오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침적물 표면 샘플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중금속 원소의 함량과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단일요인 지수법(single factor index method), Hakanson 종합오염 지수법(Hakanson comprehensive pollution index method)과 잠재 생태 위해성 지수법(potential ecological risk index method)을 이용하여 침적물 중 중금속의 생태 위해성(ecological risk)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난사허 침적물 표면의 여러가지 중금속 원소는 비교적 우수한 균질성(homogeneity)이 있었으며, 오염 수준은 크롬(chromium, Cr) gt;카드뮴(cadmium, Cd) gt;아연(zinc, Zn) gt;구리(copper, Cu) gt;납(plumbum, Pb) gt;니켈(nickel, Ni)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잠재 생태 위해성 지수법을 기반으로 평가한 결과, 이 지역에서 중금속의 생태 위해성 등급이 강한데로 부터 약한데로의 순서는 Cd gt;Pb gt;Cu asymp;Cr gt;Ni asymp;Zn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 Cd는 비교적 높은 잠재적 위해성이 있었다. 종합적 잠재 생태 위해성 지수법으로 평가한 결과, 중국 징짱 고속도로 다리(Jingzang Highway Bridge)아래 난사허 지역의 위해성 등급이 비교적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난사허는 미약한 생태 위험성 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 형태 분석 결과, 난사허 침적물에는 약산 용해성 Cd(weak acid soluble Cd) 함량이 높고, 전이성이 강하고, 생물에 대한 직접적인 위해성이 제일 크며, 그 다음으로 Zn, Cu와 Ni은 일정한 정도의 잠재적 환경 위해성이 있으며, Cr는 환경에 대한 위해성이 제일 적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67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ediment,heavy metal,ecological risk,speciation analysis,Nansha River,침적물,중금속,생태 위해성,형태 분석,난사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