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mercury in soils and waters in Guizhou Province of Southwest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Qiang,ZHANG, Rui-qing,GUO, Fei,MO, Ce-hui,LIAO, Hai-q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중국 구이저우성(Guizhou) 토양과 지표면 물(surface waters) 중 수은(mercury, Hg)의 공간분포(spatial distribution)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지화학적 농축계수법(geo-accumulation index)과 생태위해성 지수법(ecological risk index)으로 토양이 수은에 의한 오염정도(Hg pollution degree)와 잠재적 생태위해성(potential ecological risk)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단일요인법(single factor method)으로 물이 수은에 의한 오염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안전한계법(safety threshold)으로 물 중의 활성 수은과 메틸수은(methylmercury, MeHg)에 대하여 생태위해성 평가(ecological risk assessment)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구이저우성 수은광 지역(mercury ore) 및 수은과 관련된 산업지역과 인접된 지역의 토양이 총 수은으로 오염된 정도는 비교적 높았으며, 23개의 수은과 관련된 산업지역과 인접된 지역에서 매우 심각한 오염, 심각한 오염, 조금 심각한 오염 정도의 토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78.26%, 13.04%와 8.70%이며, 또한 생태위해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은 산업과 관련성이 없는 지역에서 중국 칭산포(Qingshanpo) 지역의 토양 중 수은의 생태위해성이 매우 큰 것을 제외하고는 기타 지역의 토양이 수은에 의한 오염정도가 높지 않았으며, 또한 생태위해성은 크지 않았다. 중국 구이저우성에서 수은의 채굴 및 제련 산업,납-아연(lead-zinc) 제련 산업, 유기화공 산업(organic chemistry) 등 업종과 인접한 지역의 물은 수은에 의하여 심각하게 오염되었으며, 또한 오염 범위는 확대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생생물(hydrobios)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성 수은(active mercury)과 메틸수은의 생태위해성은 비교적 작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6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g,ecological risk assessment,geo-accumulation index,potential ecological risk index,safety threshold,수은,생태위해성 평가,지화학적 농축계수,잠재적 생태위해성 지수,안전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