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sidue of methomyl in environments and its toxicological effect: A review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MENG, Shun-long,XU, Pao,QU, Jian-hong,SONG, Chao,FAN, Li-min,QIU, Li-ping,CHEN, Jia-zh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메토밀(methomyl)은 중국 및 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한 가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carbamate insecticide)로서 1997년 세계야생동물기금협회(World Wildlife Fund International)에서 환경 내분비계 교란 효과(endocrine disrupting effects)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로 결정하였다. 메토밀은 이용량이 많고, 토양 중 전이성이 강하고, 물 중 용해도(solubility)가 높고, 토양 및 물 중에서 반감기(half-life)가 길다. 그러므로 최근에 일부분 지역의 토양, 호수, 해양과 지하수 중 잔류된 메토밀이 검출되었다. 이는 메토밀은 수중생태계(aquatic ecosystem)와 인간의 음료수 자원(drinking water sources)에 잠재적인 위해성을 초래하였다는 것을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토밀의 이용 현황, 환경 중 잔류 및 그에 따른 생물에 대한 급성독성(acute toxicity), 환경호르몬 효과(environmental hormone effect), 산화적 손상 효과(oxidant damage effect), 조직기관 손상 효과(organ damage effect)와 유전독성(genetic toxicity) 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서술하였으며, 또한 메토밀에 의한 오염현황 및 그에 따른 생물과 생태계통에 대한 잠재적 위해성을 심층적으로 요해하였다. 이는 메토밀의 위해성에 대한 예방조치, 생물자원 및 생태계통의 보호에 참고적 정보가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71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ethomyl,water environment,soil,residue,toxicological effect,메토밀,물 환경,토양,잔류,독성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