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하여 측정한 불면증 환자의 정신생리적 특징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ISSN 1225-73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허성영,이진성,김성곤,김지훈,정우영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목 적 : 불면증은 여러 가지 신체질환, 정신질환에 공이환 된 경우가 많아 일차 진료에서 가장 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정신생리적 과각성이 병태생리에서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이용한 스트레스 반응 검사로 일차성 불면증과 정상인 간에 생리신호 특성을 비교하였다. 방 법 : 일차성 불면증 환자 80명(남자 35, 여자 45명, $49.71{ pm}12.91$ 세)과 정상인 101명(남자 64, 여자 37명, $27.65{ pm}2.77$ 세)에게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반응 검사를 하였다. 스트레스 반응 검사는 기저, 스트레스 1, 회복 1, 스트레스 2, 회복 2단계의 다섯 단계로 하였다. 각 단계에서 근전도(EMG), 심장박동수(heart rate), 피부전도(skin conductance), 피부체온(skin temperature), 그리고 호흡수(respiratory rate)를 각각 2분 동안 기록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측정값들의 양 군 사이 비교에는 독립 t-검정, 이전 단계와 비교한 측정값의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양측검정, p $7.72{ pm}3.88{ mu}V$ vs. $4.89{ pm}1.73{ mu}V$ , t = -6.06, p $10.29{ pm}5.16{ mu}V$ vs. $6.63{ pm}2.48{ mu}V$ , t = -5.84, p $7.87{ pm}3.86{ mu}V$ vs. $5.17{ pm}2.17{ mu}V$ , t = -5.61, p $10.22{ pm}6.07{ mu}V$ vs. $6.98{ pm}2.98{ mu}V$ , t = -4.37, p $7.88{ pm}4.25{ mu}V$ vs. $5.17{ pm}1.99{ mu}V$ , t = -5.27, p $6.48{ pm}0.59$ vs. $3.77{ pm}0.59$ , t = 3.22, p = 0.002 ; 회복 1-스트레스 1 : $-5.36{ pm}0.0.59$ vs. $-3.16{ pm}0.47$ , t = 2.91, p = 0.004 ; 스트레스 2-회복 1 : $8.45{ pm}0.61$ vs. $4.03{ pm}0.47$ , t = 5.72, p $-8.56{ pm}0.65$ vs. $-4.02{ pm}0.51$ , t = -5.31, 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055551866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불면증,정신생리,바이오피드백,생리적 스트레스 반응,근전도,Insomnia,Psychophysiology,Biofeedback,Physiological stress reactivity,Electromy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