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in Mugilogobius chula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實驗動物學報 = Acta laboratorium animalis scientia sinica
ISSN 1005-484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AI, Lei,CHEN, Xiao-qu,ZHENG, Wei-qiang,LI, Jian-j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목적: Mugilogobius chulae의 다형성 미소부수체 마커(microsatellite markers)를 개발하여 Mugilogobius chulae 유전 배경 평가에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법: 자성비드 응집법(magnetic-bead enrichment method)을 사용하고 비오틴(biotin)으로 표기한 (AC) 15 를 탐침으로 Mugilogobius chulae 미소부수체 응집 라이브러리를 작성한다. 복제, 선별, 서열 측정을 마친 후 합성 미소부수체 프라이머를 설계한다. 그 다음 야생 집단을 이용하여 미소부수체 프라이머의 다형성을 선별 및 평가한다. 결과: 미소부수체를 함유한 74개 중복 서열을 획득하였고, 미소부수체 서열에 근거하여 33쌍의 미소부수체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30마리 야생 Mugilogobius chulae 샘플을 이용하여 33쌍 프라이머의 미소부수체 부위를 획득한 가운데 12개 부위는 다형성 부위로 나타났다. 미소부수체 유전자좌의 대립유전자 수(Na), 평균 유효 대립유전자 수(Ne), 관측 이형접합성(Ho), 희망 이형접합성(He), 다형성 정보 함량(PIC)은 각각 2.9167, 2.2311, 0.4583, 0.5633, 0.4474였다. 결론: 선별한 미소부수체 마커는 Mugilogobius chulae 유전 품질 제어 및 감시에 실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87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ugilogobius chulae,Polymorphism,Microsatellites,Genetic diversity,Mugilogobius chulae,다형성,미소부수체 마커,유전적 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