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TU, Li-hua,CHEN, Gang,PENG, Yong,SU, Ting,SHEN, Ling,CHEN, Hong,HU, Hong-ling |
초록 |
본 논문은 분재 실험(pot experiment)을 사용하여 토양(매개 화분에 8kg씩)에 0(CK), 20(L 20 ), 40 (L 40 ) 및 80g·pot -1 (L 80 )의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 낙엽을 첨가함으로써 자연적인 분해가 봉선화(Impatiens balsamina)의 생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실험 결과: (1) 생달나무의 낙엽 처리는 봉선화의 출아 초기와 출아기에 있는 잎의 H 2 O 2 함량을 뚜렷하게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봉선화 출아 전기, 출아기와 만개기(full-bloom stage)의 과산화물 제거효소(SOD), 과산화물 효소(POD)와 과산화수소 효소(CAT)의 활성도 뚜렷하게 억제시켰다. (2) 낙엽 첨가 처리는 봉선화 출아 초기의 ASA 함량을 뚜렷하게 증가시켰지만, 출아기와 만개기의 ASA 함량을 오히려 뚜렷하게 감소시켰다. (3) 낙엽 물질을 첨가하였을 때 출아 초기의 봉선화 잎 MDA 함량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지만, 출아기의 MDA 함량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만개기의 MDA 함량은 L 20 , L 80 처리 조건에서는 뚜렷하게 감소하고 L 40 처리 조건에서는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4) 생달나무 낙엽 첨가 처리는 가용성 단백질과 가용성 당 2가지 삼투 조절 물질의 함량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 낙엽 첨가 처리는 봉선화의 직경 생장과 지상부의 생물량 축적을 뚜렷하게 억제하였다. (6) 생달나무 낙엽에 함유된 주요한 타감 물질로는 쿠머린(coumarin), 유칼립톨(eucalyptol), 계피알데히드(cinnamaldehyde), 캐리오필린(Caryophyllene), 알파-테피네올(Alpha-Terpineol) 등이 있었다. 연구 결과, 봉선화가 타감 물질의 산화 스트레스를 방어하는 과정에서 비효소적 활성 산소 제거 촉매 시스템은 효소적 촉매 시스템보다 더욱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그중에서 ASA가 산화 스트레스의 조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생달나무 낙엽 첨가 처리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 손상 정도는 두 개 유형의 활성 산소 제거 시스템의 제거 능력을 초과하였을 수 있으므로, 봉선화의 막 시스템에 엄중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생달나무의 직경과 생물량 축적을 감소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