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DAN, Yan-ju,SONG, Chi,SHU, Jing-ting,LIU, Hong-xiang,XU, Wen-juan,TAO, Zhi-yun,HU, Yan,LI, Hui-fang |
초록 |
단백질 인산가수분해효소 3 촉매소단위 A(protein phosphatase 3 catalytic A, PPP3CA)는 골격근 내 PPP3C의 주요한 아형으로, 근섬유 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발육 초기 다양한 오리(Anas platyrhynchos domestica) 품종의 근육 내 PPP3CA 유전자의 발현 법칙 및 근섬유 특성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생장 속도차가 비교적 큰 진딩 오리(Jinding duck)와 가오유 오리(Gaoyou duck)를 선택한 후, 실시간 형광 정량 PCR을 이용하여 오리의 배아 연령이 13, 17, 21, 25, 27일 때와 7일령에 흉근과 하지근 내 PPP3CA mRNA의 발현 수준을 검출하였다. 연구 결과, 2가지 오리의 같은 근육 조직 내 PPP3CA mRNA의 발현은 뚜렷한 시간 특이성을 나타냈으나, 품종과 성별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 2가지 오리 품종의 흉근과 하지근 내 PPP3CA mRNA의 발현 패턴은 서로 달랐으나, 모두 배아 연령이 13(13 embryonic day, E13 d)일 때 가장 높았으며, 부화 후 7일령에 배아 연령이 27(부화 전)일 때에 비해 아주 뚜렷하게 높았다(P 흉근 내 PPP3CA mRNA은 배아 연령이 21일 때 기타 배아 연령 혹은 일령에 비해 뚜렷하게 낮았다(P 연관 분석 결과, 2가지 오리 품종의 하지근 내 PPP3CA mRNA의 발현량은 본 연구에서 초기에 검출한 근섬유 유형, 직경, 면적 및 밀도 등 근섬유 특성과 다양한 정도의 선형관계를 갖고 있었다. 2가지 오리 품종의 흉근과 하지근 내 PPP3CA mRNA의 발현량은 모두 본 연구에서 초기에 검출해낸 인슐린 유사 생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Ⅰ, IGF-Ⅰ) mRNA의 발현량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P 발육 초기 오리 골격근 내 PPP3이 근섬유 유형 및 근섬유 생장, 발육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IGF-Ⅰ과 함께 골격근의 생장 발육을 조절하는 데 참여한다고 초보적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발육 초기 오리 근육 내 PPP3의 작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오리 육질을 개선하는 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