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utomatic Classification of Epileptic Electroencephalogram Signal Based on Improved Multivariate Multiscale Entrop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醫學工程學雜志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ISSN 1001-551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Yong-hong,CUI, Jie,HONG, Wen-xue,LIANG, Hui-ju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기존의 샘플 엔트로피로 신호 자체 고유적인 장거리 상관성을 정량화하기 어렵다. 비록 다변량-다척도 엔트로피로 데이터 내재적 상관성을 검출할 수 있지만 대부분 단일 변량 신호에 이용된다. 다변량-다척도 엔트로피는 다척도 엔트로피로써 다변량 신호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비선형 동적 상관성을 반영한다. 그러나 기존의 다변량-다척도 엔트로피는 그 계산량이 크고, 경로 개수가 비교적 많은 시스템에 대해 대량의 시간과 공간을 소모하며, 변량 사이의 상관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개선된 다변량-다척도 엔트로피는 단일 변량에 대한 기존의 다변량-다척도 엔트로피 내내적 패턴을 모든 변량에 대해 동시에 감입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경로 개수 증가에 따라 메모리 용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 다변량 신호 분석에 더 적용되었다. 본 논문의 방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본(Bonn) 간질 데이터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해당 방법은 관련 데이터에 대해 비교적 양호한 구분 성능을 갖고 있었다. 간질 데이터 실험 결과, 해당 방법은 5개 데이터 집합에 대해 비교적 양호한 분류 정밀도를 갖고 있었으며, 그중 데이터 집합 Z, S에 대한 분류 정밀도는 100%에 달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1735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ultivariate multiscale entropy,epilepsy,embedding theory,wavelet packet transform,다변량-다척도 엔트로피,간질,내재적 이론,웨이블릿 패킷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