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ulture Condition on the Molecular Weight of Hyaluronic Acid Synthesized by Streptococcus equisimili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食品與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ISSN | 1673-1689, |
ISBN |
저자(한글) | LIU, Jin-long,ZHAO, Guo-qun,LI, Zhi-min,GAO, Min-jie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저자는 서로 다른 배양 조건이 Streptococcus equisimilis 합성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분자 질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고분자량과 고농도의 포도당은 긴 사슬 히알루로산의 합성에 효과적이었으며, 발효 시스템의 포도당 질량 농도가 20 g/L에서 80 g/L로 향상했을 때, 분자량(molecular weight)도 1.24×10 6 에서 2.02×10 6 으로 증가하여 62.9% 향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도당 유가 배양(Feeding culture)은 고분자량의 히알루론산 합성에 불리하다. 포도당의 회분 배양(Batch culture)과 연속 배양 방식을 이용하여 얻은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각각 1.53×10 6 와 1.42×10 6 로 유가 배양보다 각각 19.9%, 25.7%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3~39℃ 온도 범위에서 낮은 온도 조건이 고분자량의 히알루론산 합성에 유리했다. 33℃ 온도로 배양했을 때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최고로 2.54×10 6 에 달할 수 있다. 발효액 pH가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고 pH 8일 때 최고치인 2.38×10 6 에 도달했다. 비교적 높은 용존 산소 수준은 고분자량의 히알루론산 합성에 유리했다. 용존 산소 농도가 0~45%일 때, 용존 산소의 수준이 향상함에 따라 분자량이 1.16×10 6 에서 2.43×10 6 으로 증가하여 109.4% 향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고분자량의 히알루론산 미래 생산에 유용한 실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33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hyaluronic acid,molecular weight,Streptococcus equisimilis,culture conditon,히알루론산,분자량,Streptococcus,equisimilis,배양 조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