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 전통지식 추출을 위한 델파이조사의 신뢰성 연구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Dat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ISSN | 1598-9402, |
ISBN |
저자(한글) | 이기훈,송미장,김현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본 연구는 문헌 및 현장에서 얻은 생물자원지식들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델파이 조사 (Delphi method)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델파이조사는 전문가들이 다른 사람의 의견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전문성 있는 평가를 내린 다음에 다음 단계에서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하며 자신의 의견을 수정하는 절차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서 얻은 전통지식 100건, 현장에서 취득한 지식 100건 등, 모두 200건을 우선 선정한 후 전문가 6인을 선정하여 각 지식의 가치에 대하여 두 차례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두 차례의 평가점수는 연관성이 매우 높으면서 2차에서는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용해 어느 정도 자체수정이 발생하여 각 문항에 대한 평가점수의 표준편차가 줄어들었다. 본 조사의 신뢰성 (reliability)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인 신뢰도 계수인 크론바하 알파와 함께 일반화가능도 (generalizability) 계수를 구하였다. 이 두 신뢰도 분석을 통해 2차 평가 후 평가의 신뢰도가 상승하여 전문가에 의한 델파이 조사의 신뢰도가 매우 높다는 사실을 지지하였으나 일반화 가능도 분석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다른 결과를 유추할 수 있었다. 신뢰도계수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평가자간의 편차는 증가하여 신뢰도가 높아진 것은 평가가 상향되고 평균에 회귀하는 경향으로 잔차변동이 줄어서이지 평가자간의 의견수렴이 이루어진 결과로 볼 수는 없다는 사실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신뢰도 계수와 함께 평가자 간의 분산을 파악하여 델파이조사의 추가적인 단계 (round)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2524937516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델파이조사,생물자원전통지식,신뢰성,일반화가능도,Agricultural resources knowledge,Delphi method,generalizability,reliabili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