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ANDAS가 의심되는 뚜렛장애 아동에서의 B 임파항원 D8/17에 관한 예비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SSN 1225-729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정유숙,이영식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6-01-01
초록 연구목적 : Streptococcus 감염에 취약한 생물학적 지표라고 알려진 D8/17 항체가 PANDAS로 의심되는 뚜렛장애 환자에서 높은지를 알아보고, 뚜렛장애군 중 D8/17 양성반응 여부에 따라 임상경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PANDAS가 의심되는 뚜렛장애 소아환자 9명과 비교 대상으로 틱증상이 없이 일관되게 지속적으로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장애를 보이는 2명의 소아를 택하여 B 임파구 D8/17 항원 양성반응 비율과 혈청 ASO 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PANDAS가 의심되는 9명의 뚜렛장애 소아의 경우 평균 77.9%( $50.9{ sim}100%$ ) D8/17 B임파구 양성 비율을 보여 비교대상인 2명의 ADHD(24.8%, 53.7%) 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뚜렛장애 중 90% 이상의 높은 양성비율을 보이는 경우가 4예 (44..4%)였다. 특히 모녀 뚜렛장애인 경우 각각 98.4%, 99.0%라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 뚜렛장애의 심한 정도와 D8/17 양성 임파구 비율간에 의미있는 상관관계는 없었다. ASO titer와D8/17양성 임파구 비율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는 없었지만 뚜렛장애 66.7%에서 100IU/ml 이상을 보였다. 결 론 : 상기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일부 뚜렛장애 환자의 경우 streptocooccus 감염과 연관된 PANDAS일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6191290983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뚜렛장애,B임파구 항원 D8/17,PANDAS,Tourette syndrome,B Lymphocyte D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