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시설에 따른 천연기념물 노거수 생육상태 분석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ISSN | 1229-3857, |
ISBN |
저자(한글) | 손지원,신진호,이재진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소나무와 은행나무를 중심으로 수목활력도를 측정하고, 관리시설물에 따른 노거수의 수목활력도 차이를 규명하였다. 수목활력도 측정 결과 소나무의 전기저항 값은 평균 $14.9K{ Omega}$ 이고, $8.5{ sim}37.5K{ Omega}$ 사이에 분포하며, 은행나무의 전기저항 값은 평균 $13.5K{ Omega}$ 로, $6.4{ sim}40.5K{ Omega}$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시설물 현황조사 결과 소나무, 은행나무 모두 과반수 복토 및 석축이 이루어졌고, 특히 복토 여부에 따라 수목의 활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나무와 은행나무 모두 복토 된 수목의 형성층 전기저항 값이 복토되지 않은 수목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상대적인 생육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토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관리가 필요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노거수 외 지자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보호수에 대한 관리방안 실태조사도 실시하여 전반적인 복토 제거 등 관리시설물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2234179213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형성층 전기저항 값,복토,소나무,은행나무,관리방안,CAMBIAL ELECTRICAL RESISTANCE,COVERING UP WITH SOIL,Pinus densiflora,Ginko biloba,MANAGEMENT GUIDE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