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NA barcoding of life: a classification of uses according to function and scale after ten years of development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多樣性 = Biodiversity science
ISSN 1005-009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PEI, Nan-cai,CHEN, Bu-f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DNA 바코딩은 현대 생물학 연구에 풍부한 분자정보, 표준적 디지털 플랫폼과 일반 기술 규정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동물, 식물과 미생물 등 3가지 분야로 부터 생물 DNA 바코딩의 최근 10년동안의 발전시기와 발전역사를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DNA 바코딩 특징에 근거하여 그 생물학 기능을 기본기능(예를 들면, 데이터 저장과 종 식별), 지연기능(예를 들면, 계통발육관계의 구축, 특정산업에 관한 서비스, 신세대 생물지도의 편제) 및 잠재적 기능(예를 들면, 종 통합) 등 3가지 유형으로 종합하였다. 연구규모에 근거하여 개체군(주로 전문적 과와 속 유형의 연구), 군락(자연보호지역과 대형고정표본지로 구성된 생물군락)과 지역(생물다양성 이슈지역) 등 3개 수준으로 나누었다. 국제적 생명 바코딩 조직이 추진한 10대 유형의 연구 프로젝트를 열거하였으며 계통 및 분류학, 생물다양성 보호, 계통발육 진화 생태학과 디지털화 플랫폼 구축 등 4개 분야로부터 DNA 바코딩 방법이 연관된 여러 중요한 과학의제를 분석하였고 또 각 학과를 응용할 때 발생할 문제를 제안하였다. DNA 바코딩 기술은 생물과학 분야에서 잠재력이 매우 크나 연구와 논증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36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arcoding technology,biological resource,biodiversity conservation,bioinformation digital platform,modern biology,바코딩 기술,생물자원,생물다양성보호,생물정보 디지터 플랫폼,현대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