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versity of 1,1,1-trichloroethane degrading Dehalobacter spp. in contaminated groundwate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N, Li-rui,ZHANG, Xiao-jun,LI, Hui,REN, Hong-yan,LIN, Kuang-fei,LIU, Yong-di,ZHAO, Li-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목적] 모 회사의 1,1,1-트리클로로에탄(1,1,1-Trichloroethane, 1,1,1-TCA)을 주요 오염물질로 하는 6개의 지하수 샘플 중의 분해미생물 Dehalobacter spp.(Dhb)에 대해 상대적 정량과 다양성분석을 진행하였다. [기법]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6개 샘플 중 1,1,1-TCA, 1,1-다이클로로에테인(1,1-Dichloroethane, 1,1-DCA)과 클로로에탄(chloroethane, CA)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정량 PCR법을 통하여 6개 샘플 중 Dhb가 총균에서 차지하는 백분비를 각각 측정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일반 프라이머와 Dhb 특이 프라이머를 증폭하여 얻은 PCR 산물로 6개 샘플의 Dhb 특이성 클론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서열과 GenBank 중의 제일 유사한 서열로 계통발육수를 구축하였다. [결과] 6개 샘플 중에 1,1-DCA와 CA의 검출이 있으며 따라서 이 6개 지하수 중 1,1,1-TCA는 생물학적 분해가 존재함을 추측할 수 있다. 정량 PCR 결과, 6개 샘플 중 Dhb 풍도차이는 비교적 컸다. 6개 Dhb 특이성 클론 라이브러리에서 41조의 서열을 얻었으며 서열 비교결과, 그들과 제일 유사한 분류학적 지위의 서열은 모두 Dhb속에 속하였다. 이러한 서열을 99%의 유사성에 의해 7개 조작가능한 분류단원(OTU)으로 나누었다. 그 중 24조 서열은 OTU1에 속하였으며 이 OTU의 서열과 1,1,1-TCA를 분해할 수 있는 Dehalobacter sp.str.TCA1의 16S rRNA 유전자 서열과의 유사성은 98%에 달하였다. 라이브러리 중의 3개 OTU와 GenBank 중 16S rRNA 유전자 서열의 동원성은 최고로 95%-96%에 달하였다. [결론] 이 오염장소의 지하수 중에 다양성이 비교적 풍부한 분해미생물 Dehalobacter속 세균이 존재하였으며 그들은 가능하게 현장의 1,1,1-TCA 생물학적 분해와 관계될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36373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1,1,1-Trichloroethane,Dehalobacter,16S rRNA gene clone library,Real-time qPCR,Biodegradation,Diversity,1,1,1-트리클로로에탄,Dehalobacter,16S rRNA 유전자 클론 라이브러리,Real-time qPCR,생물학적 분해,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