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Hong-xia,LU, Dou-ding,HE, Piao-xia,DAI, Xin-feng,XIA, Ping,LI, Dong-rong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최초로 동중국해 해역에서 분리한 코클로디니움 폴리크리코이데스(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균주를 대상으로 상세한 분류학적 보고를 수행하였다. 광학현미경, 형광현미경, 전자주사현미경 및 분자생물학적 방법 등을 통하여 코클로디니움 폴리크리코이데스의 형태 및 특성을 상세하게 묘사하였으며 또한 그 리보솜 큰 소단위체 서열(LSU rDNA)을 계통발생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조류는 단세포 및 쇄상 세포(chainlike cells)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일반적으로 쇄상에는 2, 4, 8 및 16개의 세포가 포함되어 있었다. 횡구(cingulum, 가로 고랑)는 넓고 깊으며, 세포를 거의 2바퀴 둘러싸고 내부에 편모가 함유되어 있다. 종구(sulcus, 세로 고랑)는 좁고 얕으며 횡구와 가까이에서 뻗어 나간다. 또한 U형의 상측 고랑을 가지고 있었으며, 세포핵은 크면서도 둥글고 에피콘의 앞 끈에 분포되어 있었다. 엽록체는 막대기 모양으로 수량이 많았으며 클러스터 형태로 분포되어 있었다. 서열 측정 결과, 확보한 리보솜 큰 소단위체 D1―D3 서열은 길이가 870bp였다. 계통수 및 Jukes-Cantor 유전적 거리 행렬의 구축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동중국해 코클로디니움 폴리크리코이데스 균주는 동아시아 리보형(East Asian ribotype)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