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of leaf abaxial epidermis for 30 species of Rhododendron (Ericaceae) from Guizhou Provin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廣西植物 = Guihaia
ISSN 1000-314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Xiang,HUANG, Cheng-ling,ZHANG, Yu-wu,LI, Wei-jie,LONG, Cheng-ch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진달래속 식물의 분류 역사는 잎사귀 표피 특징의 분류학적 가치를 아주 중시하며 여러 가지 아속 사이 혹은 종자 및 종자 등급의 분류에서 모두 해당 특징의 작용을 강조하였다. 구이저우성(Guizhou)은 세계 현대 진달래 분포 중심의 변두리 및 동쪽으로 확산되는 과도 지대에 위치해 있다. 구이저우성에서 자연 분포 된 진달래의 종류는 자원이 풍부하고 독특한 특색이 있으며 아직 심층 연구되지 않은 고유 개체군이 아주 많다. 구이저우 진달래속 식물의 체계 분류 관계를 한층 더 연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이저우에 자연 분포된 30가지 진달래의 잎 뒷면 미세 형태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중 28가지 잎 뒷면 표피 특징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연구 재료는 전부 구이저우 서북부 바이리(Baili)진달래자연보호구의 진달래속 식물로 채집하였으며 진달래 아속이 4종, Rhododendron scabrifolium Franch. 아속이 1종, Subgen.Hymenanthes (Blume) K.Koch 아속이 22종, Azaleastrum Planch. ex K. Koch 아속이 1종 및 대만철쭉(Rhododendron simsii) 아종이 2종으로 총 30종을 채집하였다. 연구 방법은 성숙된 잎사귀를 처리한 후 JSM-6490형 주사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으로 잎 뒷면 표피를 관찰하는 것이다. 잎 뒷면 비늘 형태 구분 방법은 기존의 연구를 참고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상술한 30가지 진달래 잎사귀 뒷면의 표피 형태 특징은 뚜렷한 다양성을 나타냈다. 예를 들면 비늘 유형의 진달래는 비늘이 있었지만 기타 유형의 군집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잎사귀 외피에서 표피털이 자라는 것과 자라지 않는 것, 표피털 배열이 성기거나 밀집, 기공장치가 보이지 않거나 가끔 보임, 유두형 혹은 비유두형 돌기 사이에서 생장,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기공장치가 함몰, 내, 외륜 표면이 거칠거나 매끄러움, 기공장치 주변에서 연속되지 않은 돌출된 줄무늬가 있거나 없음 , 고리 모양 혹은 깃모양으로 돌출 등 다양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같은 아속 혹은 아집단에서는 일정한 일치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잎 뒷면 표피의 미세 형태 특징은 진달래속 식물의 계통 분류에서 중요한 연구 가치가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8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hododendron,taxonomy,leaf epidermis,micromorphological characters,Guizhou,진달래속,분류,잎 외피,미세형태,구이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