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RG Change of Healthy People after Short-term Simulated Weightlessness by Head-down Tilt.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航天醫學與醫學工程 = Space medicine medical engineering
ISSN 1002-083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O, Jun,HU, Lianna,LI, Zhisheng,LIANG, Huize,YAN, Hongxin,QIU, Chang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목적 : 단기 헤드 다운 침상 안정(head down-tilt bed rest, HDBR) 모의 무중력 조건에서 건강한 사람의 망막 전도(electroretinography, ERG)의 변화 정황을 관찰하는 것이다. 기법 : 14명의 건강한 남성 지원자를 선별하여 -6° HDBR 모의 무중력 조건에서 테스트 받기 전, 테스트를 받은 2일째와 5일째에 국제 임상시각 전기생리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Electrophysiology of Vision, ISCEV)의 임상시각전기생리표준(2008년에 수정)에 따라 그 간상 세포(rod cells) 반응, 최대 혼합 반응, 진동 전위(oscillatory potentials, OPs), 원추 세포(cone cell) 반응과 30Hz 플리커(flicker) 반응 등을 기록하였다. 결과 : 원추 세포 반응 및 플리커 반응은 테스트를 받기 전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P gt;0.05); 간상 세포 반응과 최대 혼합 반응 파의 잠복기는 뚜렷한 변화를 보였지만(P lt;0.01), 진폭은 큰 변화가 없었다(P gt;0.05). 또 진동 전위 O1의 잠복기는 차츰 길어지는 추세를 보였고(P=0.0017), 기타 파(wave)의 잠복기와 진폭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P gt;0.05); 하지만 진동 전위 각 파의 진폭과 총 파(total wave)는 모두 테스트를 받은 2일째에 증가하고 5일째에 원상태로 회복되는 추세를 보였다. 결론 : HDBR 모의 무중력 조건은 ERG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은 아주 미미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532113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imulated weightlessness,head down-tilt bed rest,electroretinography,모의 무중력,헤드 다운 침상 안정,망막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