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EG Power and Space-Specific Analysis on Target Detection of Vision,Audition and Somatosensor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醫學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ISSN 0258-802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Wu-yi,XU, Min-peng,LI, Yue-zhi,ZHANG, Yu-jing,QI, Hong-zhi,WAN, Bai-kun,XIE, Xiao-bo,CUI, Hong-yan,MING, Dong,HU, Y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행동학과 EEG 주파수 스펙트럼 에너지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시각, 청각, 체성 감각 채널에 대한 표적 자극 검출(target dstimuli detection)과정에 주파수 밴드(band)와 좌우뇌 공간 분포를 고찰하였다. 14명의 건강한 실험대상에서 64 채널의 EEG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시각, 청각, 체성 감각에 대한 표적 자극과 비표적 자극으로 나뉘었다. 3가지 감각 채널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실험대상의 표적 자극 EEG Power은 모든 비표적 자극의 주파수 스펙트럼과 뇌영역에 비해 강하였으며, 3개 감각 채널에 대한 표적 자극의 행동학적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체성 감각에 대한 표적 자극 검출 난이도는 청각과 시각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 delta와 theta 주파대는 3가지 감각 채널에 대한 표적 자극 검출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ERPs 구성 요소인 P300은 3가지 감각 채널에 대한 표적 자극 검출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가까운 표적에 대한 검출과정에 좌뇌는 뚜렷한 우위성을 보여주었다. 3가지 감각 채널에 대한 표적 자극 검출의 행동학적 결과(착오률)와 EEG Power 결과(전극 유의차 통계)는 거의 일치하였는데, 이는 잠재적 전기생리학 파라미터인 EEG Power 분석을 이용하여 시각, 청각, 체성 감각 등 3가지 채널의 식별 난이도를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704909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vision,audition,somatosensory,EEG,시각,청각,체성 감각,E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