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Haijian,LI, Yili,LI, Qing,YANG, Gang,KUANG, Jiankang,JIANG, Chunxian,YANG, Qunfang |
초록 |
시짱 풀무치[Locusta migratoria tibetensis(Chen)]는 중국 칭장고원(Tibetan Plateau)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풀무치(migratory locust) 아종이며, 최근 몇 년 동안에 극심한 피해를 주었다. 그 응집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시짱 풀무치 생태 관리의 기초이기도 하다. 자체제작 Y형 후각계(olfactometer),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GC-MS)와 전기생리학적(electrophysiological, EAG) 반응 등 방법을 이용하여 시짱 풀무치 배설물 추출물에 대해 활성 측정과 성분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에탄올 추출법은 시짱 풀무치 배설물 추출물을 추출하는 비교적 양호한 방법이다. 시짱 풀무치 배설물 추출물 활성은 곤충의 나이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군거형 성충 배설물 추출물의 활성이 제일 강하였다. 풀무치 배설물 추출물에 대한 분산형 풀무치의 주성(taxis)은 같은 곤충 상태의 군거형 풀무치가 풀무치 배설물 추출물에 대한 경성보다 높았다. 서로 다른 곤충 상태의 시짱 풀무치 배설물 추출물이 함유한 화합물 종류 및 함량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부분적 화합물과 동아시아 풀무치 집중적 정보 원소의 성분은 서로 같았다. 인공합성 화합물에 대한 시짱 풀무치의 EAG 반응변화 추세는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즉 2 mu;L/mL 농도에서 EAG 반응값이 제일 높았고, 서로 다른 곤충 상태의 시짱 풀무치가 동일한 화합물에 대한 EAG 반응변화 추세는 불일치하였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라 EAG 반응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