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omparison of Pain Sensation and Emotion Response Induced by Different Noxious Stimulation in Rat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命科學硏究 = Life science research
ISSN 1007-784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Wei-wei,LIU, Ju,JIANG, Xue-li,ZHANG, Sen,FANG, Bo-wen,LIU, Wei,HUANG, Hong-ping,WANG, Meng-y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서로 다른 유해 자극(noxious stimulation)에 의한 쥐의 통증 감각(pain sensation)과 감정적 고통(pain emotion)을 비교하기 위하여, 17마리 마취한 SD 쥐에 대해 통증 감각 대표 뇌 구역 dysgranular zone(DZ)과 감정적 고통 대표 핵 기저외측 편도체(basolateral amygdala, BLA)의 전기 활동과 심전도계(electrocardiograph), 근전도(electromyography), 피부 전도(skin conductance), 체온 등 심리 생리학적 현상을 동시에 기록하였으며, 축자적 균형(sequential equilibrium)법에 따라 각각 열, 테일 핀치(tail pinch), 전기 자극을 주었다. 열과 테일 핀치(tail pinch) 자극이 BLA와 DZ를 강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전기 자극은 DZ의 방전 활동만 강화하였다. 열 자극에 의해 유도된 BLA와 DZ 방전 활동은 테일 핀치(tail pinch)와 전기 자극에 의해 유도된 활동보다 강하였다. BLA는 DZ의 기초 방전 주파수와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 각 자극에 의한 정서 관련 생리적 반응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서로 다른 유해 자극에 의한 BLA와 DZ 방전 활동은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생리적 반응은 비슷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44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oxious stimulation,pain sensation,pain emotion,dysgranular zone,basolateral amygdala,유해 자극,통증 감각,감정적 고통,dysgranular zone,기저외측 편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