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Suaeda속 식물은 전형적인 염생식물(halophyte)로서 중요한 염생식물 자원에 속하며, 전 세계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20종의 Suaeda속 식물에 대한 관찰과 염분 스트레스 실험을 진행하고, 다양한 기관 혹은 조직의 생리생화학적 특성 및 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염분 스트레스의 반응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잎의 육질화(leaf succulence), 세포내 이온의 구획화(ion compartmentalization), 삼투 조절 물질의 증가와 항산화 시스템의 능력 증가는 Suaeda속 식물이 염분 스트레스에 반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중요한 방식과 경로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 사업은 일정한 국한성을 갖고 있었다. 연구 사업은 주로 식물의 지상부에만 집중하였고, 식물의 지하부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적었다. 소수의 생물학적 지표 혹은 생리학적 현상을 단독으로 관찰하였으며, 전체 생리 대사 과정에 대한 종합 분석은 결핍하였다. 특정 Suaeda에 대한 독립 분석은 비교적 많았으나, 유연종(related species)의 비교 연구는 비교적 적었다. 중성 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반응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았고, 알칼리성 염분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적었다. Suaeda속 식물의 내염 메커니즘(salt-tolerance mechanism)을 체계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 향후의 연구에서는 염분 스트레스에 반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Suaeda속 식물의 신호망과 제어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계통 생물학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현대 오믹스(Omics) 기술을 이용하여 염분에 대한 해당 식물의 반응(복잡한 신호망의 제어를 받는 특수 생리적 특성과 특이한 대사 경로)을 탐구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