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echanism analysis of yeast flocculation in the process of replicative aging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AN, Wen-tao,YANG, Di,YIN, Ya-hui,LIU, Bao-xiang,QU, Jing,DONG, Liang,ZHAO, Zhang-x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목적] 연속 계대(Continuous subculture) 과정에서 효모균(Yeast)의 생리학적 성질과 세포벽 단백질에 대한 관찰과 검출을 통해 복제 노화 과정에서 효모균 응집(Flocculation) 변화의 원인을 분석한다. [기법] 2차원 겔 전기영동법(2-D gel electrophoresis method)과 적외선 분광법(infrared spectroscopy method)을 각각 이용하여 연속 계대 과정에서 효모균의 세포벽 단백질에 대해 검출하였다. [결과] 효모균 계대 차수의 증가에 따라, 2차원 겔 전기영동 지도(2-D gel electrophoresis picture)에서 분명하게 표시된 단백질점은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적외선 분광 지도의 지문 지역 890.51 cm ndash; 1 과 808.48 cm ndash; 1 곳에서 흡수 피크(Absorption Peak)는 감소하였다. [결론] 연속 계대 과정에서 효모균의 세포벽에서 단백질 글리코실화(glycosylation)의 수준은 감소하였으며, 세포벽 표면 단백질 유전자 그룹은 변화하였고, 세포벽 표면에서 각종 힘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효모균의 응집 강화 현상을 가져왔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563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Yeast,Continuous subculture,2-D gel electrophoresis,Infrared spectroscopy,Cell wall protein,Flocculation,효모균,연속계대,2차원 겔 전기영동,적외선분광법,세포벽 단백질,응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