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ogress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of Big Domestic Anima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農業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ISSN 1674-796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Feng,LIU, Can,PAN, Chuan-y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분화된 체세포 내에 특정된 유도인자를 도입하여 이를 유도 다능성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로 재프로그래밍할 수 있는데, iPSCs는 배아 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s, ESCs)와 같은 자가갱신 능력과 미분화 상태 유지 능력을 갖고 있다. iPSCs의 출현은 ESCs의 연구 분야에 존재하는 윤리도덕적 제한과 면역거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2006년 세계 최초로 쥐(Mus musculus)의 유도 다능성 줄기세포를 얻는데 성공한 이후, iPSCs의 연구는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바이러스 벡터와 일반 플라스미드 벡터, DNA, RNA와 단백질, 소분자 화합물 조합 등을 이용한 체세포 재프로그래밍 기법과 같은 iPSCs 유도기술이 다원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동시에, 전문가들이 세포 재프로그래밍 메커니즘에 대한 인식도 점점 깊어지고 있다. 이와 동시에, 대형 가축의 iPSCs 연구 분야에서도 돼지(Susscrofa), 소(Bos taurus), 양(Ovis aries) 등 동물의 iPSCs을 잇따라 얻었으며, iPSCs 삽입 돼지와 iPSCs 삽입 양을 얻었다. 돼지 등 대형 가축은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구도 등 면에서 사람과 비슷하고 또 사람(Homo sapiens)의 가장 주요한 육류, 젖류 식품 래원이며 사람의 건강과 연관이 있기에 대형 가축의 iPSCs는 임상 응용과 실제 생산에서 모두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iPSCs 유도기법, 효율, 메커니즘과 대형 가축의 iPSCs 연구 현황을 종합 기술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39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ig domestic animal,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Inducing methods,Inducing efficiency,대형 가축,유도 다능성 줄기세포,유도기법,유도 효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