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K2β Promotes Pinkl/Parkin-mediated Mirol Degrada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醫學工程學雜志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ISSN 1001-551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Chen-liang,QIN, Si-yue,JIANG, Chang-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관련 단백질 PINK1(PTEN-induced putative kinase 1)은 세포 내에서 2가지 아형(subtype)을 갖고 있다. 즉 이는 미토콘드리아 표면에 위치한 전체 길이 PINK1(PINK1FL)와 세포질에 위치한 PINK1-cyto이다. PINK1FL는 기능이 저하된 미토콘드리아 표면에 축적될 수 있으며, 또 다른 파킨슨병 관련 단백질 PARKIN과 함께 미토콘드리아 수송인자 MIROL1를 분해할 수 있다. 그러나 PINK1-cyto의 기능에 대한 이해는 아주 적다. PINK1-cyto의 세포질에서의 생리학적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HEK293 세포 내에서 세포 형질감염을 통하여 다양한 단백질을 일과성 발현시켰으며, 공면역 침강법(Co-Immunoprecipitation)을 이용하여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PINK1-cyto는 Casein KinaseⅡ 조절 소단위 CK2β의 도움을 받아, PARKIN과 함께 MIRO1를 분해할 수 있었다. CK2β의 이러한 기능은 Casein KinaseⅡ의 촉매 소단위 CK2α에 의존하지 않았다. 동시에, 공면역 침강 분석을 통하여, CK2β가 PINK1-cyto과 MIROL1의 결합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CK2β는 CK2α과 결합하는 것 이 외에, 또 PINK1-cyto과도 결합하여 생리적 활성을 갖춘 키나아제(kinase)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4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arkinson's disease,CK213,PINK1,MIRO1,파킨슨병,CK2β,PARKIN1,MIR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