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Bicarbonate reabsorption in proximal renal tubule: molecular mechanisms and metabolic acidosi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理學報 = Acta physiologica Sinica
ISSN 0371-08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UO, Yi-min,LIU, Ying,CHEN, Li-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신장의 HCO 3 - 재흡수 기능은 인체의 산-염기 균형(acid-base balance)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으므로, HCO 3 - 재흡수 장애는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을 초래할 수 있다. 근위 세뇨관(proximal renal tubule)은 HCO 3 - 재흡수의 가장 중요한 부위이고 약 80%의 HCO 3 - 는 이 부위에서 혈액으로 회수되었다. 반세기가 넘는 연구를 통해, 근위 세뇨관 상피 세포를 통과하는 HCO 3 - 운반 과정의 분자 메커니즘에 대해 비교적 깊이 있게 인식하였다. 해당 운반 과정은 상피 세포의 꼭지면 막(apical membrane)과 기저 측면 막(basolateral membrane) 등 시리즈의 이온 운반체(ion transporter)의 협동 작용에 관련되었다. 근위 세뇨관의 꼭지면 막에서 나트륨-수소 교환체(sodium-hydrogen exchanger) NHE3 및 V형 양성자 펌프(proton pump)는 HCO 3 - 재흡수를 매개(mediation)하는 두 개의 중요한 경로이다. 그중에 NHE3은 약 50%를 맡고, V형 양성자 펌프는 약 30%를 맡으며 남은 20%는 기타 경로로 매개한다. 기저 측면 막에서, Na + /HCO 3 - 공동 운반체 NBCe1은 HCO 3 - 을 조직 간극( tissue space )으로 운반하여 상피 세포를 통과하는 수송 과정을 완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반세기에 근위 세뇨관의 HCO 3 - 재흡수 분자 메커니즘 연구에 관한 역사적 맥락을 정리하고, 최근 십 년간 관련 연구의 최신 진전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으며, 근위 세뇨관 상피 세포 중에 산-염기 이온 운반체의 생리학과 병리학 작용을 깊이 있게 토의하고 존재하는 문제점에 대한 토론과 전망을 진행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12173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icarbonate transporter,acid-base balance,renal tubule,metabolic acidosis,중탄산 이온 운반체,산-염기 균형 조절,세뇨관,대사성 산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