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암환자(癌患者)에서 세포성면역반응(細胞性免疫反應)이 대체적(大體的)으로 억제(抑制)되었다는 사실(事實)은 여러 항원(抗原)에 대(對)한 피부반응(皮膚反應)의 감소(減少), 임파구(淋巴球)의 mitogen에 대(對)한 임파아구형성반응저하(淋巴芽球形成反應低下) 및 임파구(淋巴球)와 면양적혈구(緬羊赤血球)(SRBC)와의 자연로젤형성(自然로젤形成)의 감소(減少) 등에 의(依)하여 구명(究明)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상(現象)에 대(對)한 기전(機轉)의 설명(說明)은 많은 연구(硏究)에도 불구(不句)하고 아직 미흡(未洽)하다. 본(本) 실험(實驗)에서 저자(著者)는 간암(肝癌) 및 폐암환자(肺癌患者)로부터 무균적(無菌的)으로 채취(採取)한 복수(腹水) 및 늑막액(肋膜液)을 마우스에 SRBC로 면역(免疫)하기 2일전(日前), 항원조사(抗原注射)와 동시(同時) 또는 항원주사(抗原注射) 2일(日)에 투여(投與)하여 마우스의 SRBC에 대(對)한 세포성(細胞性) 및 체액성면역반응(體液性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실험(實驗)하였다. 그 결과(結果) SRBC로 면역(免疫)하기 전(前)에 암성삼출액(癌性渗出液)을 투여(投與)받은 마우스군(群)의 면역반응(免疫反應)은 대조군(對照群)의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비(比)하여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소(減少)를 보인데 비(比)하여, 암성삼출액(癌性渗出液)을 SRBC와 동시(同時) 및 항원주사(抗原注射) 후(後)에 투여(投與)받은 마우스군(群)의 면역반응(免疫反應)은 대조군(對照群)의 그것과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따라서 이상(以上)의 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는 암성삼출액(癌性渗出液)이 면역억제인자(免疫抑制因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억제인자(抑制因子)는 면역계(免疫系)의 afferent arc을 억제(抑制)함을 강력(强力)히 시사(示唆)한 증거(證據)라고 사료(思料)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