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곤충의 세포성 면역반응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 한국곤충학회지
ISSN 1011-949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3-01-01
초록 세포성 면역반은은 사실상 체액성 반응과 분리시켜서 생각할 수 없다. 그러나 편의상 우리는 혈구 자체의 활동에 의한 면역반을을 세포성 혹은 혈구성 면역이라 부른다. 곤충에는 T-cell류와 B-cell류, plasma cells, null cells (killer cell, natural killer cell, natural cytotoxic cells), 등의 림프류나 dendritic cells, macrophages, neutrophils, eosinophils, basophils, mast cells 그리고 platelets등과 같은 비림프구류는 없다. 그러나 곤충들은 나름대로 종에 따라, 혹은 발생단계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혈구들은 혈액내에 분포시켜 세포성 방어작용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관하여는 이미 일차적으로 필자에 의하여 총설로서 발표된 바 있다(한, 1989). 그 내용은 혈구분류, 포식작용, 캡슐형성, 결정형성, 혈구사회학의 방향, 그리고 일부 체액성 면역작용등이 간략하게 포함되었다. 따라서 본 총설에서는 기 발표된 내용과 중복을 피하면서, 세포성 면역반응의 범주에서 미비된 부분 중 중요하게 생각되는 비자기 인식(non-self recognition) 작용, 산소 의존성 살균작용, 그리고 곤충의 면역결핍증등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3119220149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