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전기자극 스트레스가 마우스의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체액성과 세포성 면역반응을 조사하고, 이 면역반응을 조사하고, 이 면역반응 결과에 대한 면역조절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전기자극 스트레스가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체내 면역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흰쥐 적혈구에 대한 특이항체생성반응은 스트레스군에서 대조군보다 항체생성반응이 감소하였다. DNFB에 대한 접촉성 과민반응 실험에서 T₂₄는 스트레스군과 대조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T₄ #x2088;는 T₂₄에 비해 스트레스군에서 증가를 보였다. Phytohemagglutinin으로 자극된 비장 단핵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³H-thymidine incorporation 검사를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군에서 대조군보다 세포증식반응이 증가되었다. 전기자극 스트레스에 의한 면역조절 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한 결과 스트레스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IL-2, IL-6의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고 IL-1, IL-12, GM-CSF, MIF 등의 유전자 발현에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전기자극 스트레스에 의해 체액성 면역반응이 저하된 현상은 면역반응 활성화와 항체 생성에 중요한 IL-2 및 IL-6 유전자 발현의 억제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스트레스군에서 IL-2 유전자 발현의 억제에도 불구하고 mitogen에 의한 세포증식반응이 증가한 현상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실험조건의 적용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스트레스에 의한 동물의 행동반응 또는 신경내분비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화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