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거대세포바이러스 조기항원 단백질에 대한 단세포군 항체 제조에 관한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ISSN 1226-3923,2289-034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박지호,손영모,박규현,이원영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9-01-01
초록 목 적 : human CMV가 생성하는 분자량 72,000 dalton의 immediate early protein(p72)과 반응하는 단세포군 항체를 국내에서 분리된 CMV 야생주로 직접 제작하여 진단에 사용해 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정상 인체 섬유아세포(Foreskin 유래)를 10% 우태아혈청이 함유된 Eagle' s minimal essential medium(MEM)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마우스 골수종세포는 P3X63 Ag8.653(ATCC, Mary land USA)을 $5{ times}10^5/ml$ 세포수를 유지하도록 배양하였다. 사용된 항원은 선천성 CMV 감염아의 소변으로부터 검출한 CMV(KJHJ90)를 대량 증식시켜 사용하였다. 생후 6~8주된 Balb/c마우스의 복강내에 CMV 항원을 1주일 간격으로 4회 주사한 후 면역시킨 마우스 비장에서 얻은 임파구와 형질세포종세포로 최적발육기의 P3X63-Ag8.653을 사용하여 융합하였다. 융합세포를 배양한 후 간접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하여 항체가가 높은 것을 골랐다. 결 과 : 생산된 28종의 단세포군항체 중 그림 1과 같이 LPC12와 LPC23클론이 AD169에 감염된 세포의 핵에 특히 강하게 반응하였다. 정제된 AD169를 SDS-PAGE한 후 Western blotting을 하여 생산된 단세포군항체가 반응하는 항원의 분자량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LPC12와 LPC23클론에서 생성된 단세포군항체는 약 72KDA의 항원과 특이적으로 가장 강하게 반응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제작된 LPC12와 LPC23 클론에서 생성된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하여 선천성 CMV감염으로 확인된 소아의 소변을 이용하여 CMV AD 169 주 유래 항체(P63-27)과 비교한 DEAFF 검사상 동일한 결과를 확인한 바 LPC12와 LPC 23 클론 항체는 AD 169(P63-27)과 같이 CMV 감염의 조기진단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91436464292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ytomegalovirus,Immediate early prot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