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normal Expression of Neuropeptide Y in the Cerebellar Purkinje Cells of the Ataxic Mutant Mice, Pogo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대한체질인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
ISSN | 1225-150x, |
ISBN |
저자(한글) | 이남섭,김기형,김철태,고경옥,김세훈,박형서,정영길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4-01-01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산 야생마우스에서 유래된 선천성 운동성조 마우스인 pogo 마우스 소뇌에서 비정상적으로 발현되는 neuropeptide Y (NPY)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확인하고, pogo 마우스 소뇌를 포함한 여러 운동성조 마우스 조롱박세포에서 비정상적으로 발현되는 tyrosine hydroxylase (TH) 과의 발현차이를 이중형광면역영색으로 비교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heterozygote pogo (pogol +) 마우스 소뇌에서는 소수의 NPY-면역반응 조롱박세포들이 소뇌후 엽에서 관찰되었다. 이에 반하여, 운동실조 pogo (pogolpogo) 마우스 소뇌에서는 NPY 면역반응 조롱박세포들이 소뇌반구와 소뇌벌레의 모든 소엽에서 관찰되었다. NPY-면역반응 조롱박씨포에서 NPY 면역반응은 조롱박세포의 세포체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세포돌기인 가지돌기와 축삭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전에 본 연구자들이 보고한 바 있는 운동실조 pogo 마우스 소뇌의 비정상적인 TH 발현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 절편에서 TH 와 NPY 이중변역형광염색을 실시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NPY 면역반응 조롱박세포는 TH 면역반응성을 보였지만, 모든 TH 면역반응 조롱박세포는 NPY 면역반응을 보이지 않기에 NPY 면역반응 조롱박세포들은 TH 연 역반응 조롱박세포들의 부분집합인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들은 선천성 운동실조 마우스 소뇌 조홍박세포의 형태적이상과 운동성조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4806621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